'Chris Marker and Coréennes', 2014, Film Book by c12p
+
+
이 필름북은 다운로드 받아서 볼 수 있습니다.
You can download this Film-Book.
You can download this Film-Book.
+
PUBLISHMENT
Published by the Fondation d’entreprise Hermès, 2014, Seoul
Conception and Editing: Rho Jae Oon
Editorial Support: Yumi Kang, Beck Jee-sook, Hyejo Yum
Translator: Meeky Song
Proofreader: Yumi Kang
Designer: Jin Jung
Printed by Dongin Print
Paper (cover stock): Maniela 250g
Paper (inside): Jonggilgi 100g
Typeface : Prestige Elite, Gil Sans
Software: Adobe Indesign 4.0
Edition: 500 copy
Copyright ⓒ 2014 Fondation d’entreprise Hermès, contributors and the artist. All rights reserved. No part of the contents of this publication may be reproduced without the written permission of the publishers.
+
EDITOR'S NOTE
이 책을 거의 완성했을 무렵 세월호* 사건이 터졌다.
한동안 무기력해져서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크리스 마커의 책 『북녘 사람들』 에 이런 구절이 있었다.
“어느 날 저녁 <심청전> 공연의 휴식 시간, 극장 문 앞에서 이혜순 양을 만나게 되었다. 심청이 이제 막 가엾은 심봉사와 헤어져 바다 신령의 제물로 바쳐질 참이었다. 휴식 시간이 심청과 심봉사의 불확실한 운명을 연장시킨 셈이었는데, 혜순양은 손수건으로 연신 얼굴을 찍어 누르며 흐느끼고 있었다.
조선의 친구들이 나의 이해를 돕기 위해 들려준 줄거리를 바탕으로 나는 혜순 양에게 만사가 순조롭게 해결될 것이라고 감히 위로의 말을 건넸다. 이백 번도 넘게 이 극을 보았을 혜순 양은 경멸 어린 시선으로 나를 쳐다보았다. 마치 어떻게 미래에 대해 그렇게 확신할 수 있느냐고 항의하는 듯한 눈빛이었다. 이내 울음을 멈춘 그녀는 눈물을 이성과 맞바꾸어 버리는 이국 사람들의 메마른 가슴에 대해서 생각하고 있었으리라.”
(크리스 마커 저, 김무경 역, 『북녘 사람들』, 서울: 눈빛출판사, 2008, p. 22)
고인이 된 크리스 마커의 영혼이 오늘날 한국을 다시 방문한다면 60여 년 전에 접했던, 해피엔딩처럼 보이는 한국의 오래된 이야기가 마침내 끔찍한 인재人災로 실현되었다는 사실에 깜짝 놀라지는 않을까? 그는 이번에는 쉬운 위로의 말을 건네는 대신 자신이 느낀 그 기시감 혹은 전도된 반복이 이곳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깊이 숙고할지도 모르겠다. 그런 생각을 하다 보니 그의 영화-우주와 잠시 접속했던 나는 이 책의 다음 챕터를 언젠가 써야 할 거 같았다. to be continued...
2014. 05
노재운
*세월호(世越號, MV Sewol)는 인천과 제주를 잇는 항로를 왕복 운항하다 2014년 4월 16일 진도군 해상에서 침몰한 여객선이다. 당시 세월호에는 단원고등학교 2학년 학생 325명과 선원 30명 등 총 476명이 탑승하였다고 알려졌으며 이 중 구조자는 172명에 그쳤다.
The Sewol ferry* disaster happened when I was almost done with this book. For some time, I was unable to do anything out of a sheer sense of helplessness.
There is a passage that goes like this in Chris Marker’s book Coréennes:
“One evening during the intermission of a performance of Simcheongjeon, I met Miss Lee Hye-sun in front of the theater. Simcheong had just parted with poor Blindman Sim, and was about to be offered up as a sacrifice to the god of the seas. The intermission was in a way prolonging the uncertain destiny of Simcheong and Blindman Sim, and Hye-sun kept on sobbing and wiping the tears on her face with a handkerchief.
Based on the story that my Joseon friends had told me to help me understand, I allowed myself to console her by telling her that it would all end well. Hye-sun, who probably had seen the play well over two hundred times, stared at me with contempt. Her eyes seemed to protest against how one could be so sure about the future. Soon ceasing to cry, she was probably thinking about the cold-heartedness of foreigners who swap tears for reason.”
(Chris Marker, Coreennes, translated by Kim Mu-gyeong Seoul: Noonbit Publishing Co., 2008, p.22)
If the spirit of the deceased Chris Marker were to visit Korea again today, would it not be surprised to find out that the old Korean tale with the seemingly happy ending that the artist had come across some sixty years ago had come true in the form of a human disaster?
Instead of offering some easy words of consolation, the artist may this time have thought deeply about the meaning of such a deja vu or converted repetition. As these thoughts crossed my mind, I realized that, as someone who had connected momentarily with his filmsuniverse, I may have to write the next chapter to this book someday. To be continued…
May 2014
Rho Jae Oon
*MV Sewol(世越號) was the name of the ferry that regularly plied the Incheon to Jeju Island route, which sank near Jindo Island on April 16, 2014. It had on board a total of 476 passengers including 325 tenth grade students from Danwon High School and 30 crew members. Only 172 passengers were rescued.
+
지난 2013년 아뜰리에 에르메스는 미술가이자 영화감독으로 동시대 문화예술의 핵심적인 ‘문법’을 만들어냈다고 평가받는 크리스 마커의 작업을 소개하는 전시를 열었다. 크리스 마커의 초기 작업에서부터 2011년 신작에 이르는 작품들과 대표적인 영화들 그리고 관련 도서들이 같이 전시되었다. 또한 전시를 준비 중이던 2012년 크리스 마커가 타계하면서 그의 작업을 한국작가 4인(강홍구, 노재운, 정윤석, 황세준)의 시각으로 조망하는 작품들도 같이 전시되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매체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며 이미지와 기억의 문제를 둘러싼 정치 사회적 함의에 대해 숙고하고 시간, 죽음, 역사에 대한 철학적인 돌아봄을 시도했던 크리스 마커의 면모를 소개하였다. 또한 4인의 한국 작가가 각기 다른 관점에서 크리스 마커의 작업을 조망한 작업들을 통해 크리스 마커가 90년대 이후 한국의 문화예술계에 미친 적지 않은 영향도 살펴볼 수 있었다.
출판물 『아뜰리에 에르메스_크리스 마커와 꼬레안들』 은 크리스 마커가 다루었던 사진, 영화, 비디오, CD-Rom, 게임 등 다양한 매체와 ‘이미지와 기억’이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그의 작업 관련 이미지들을 한국 작가 노재운이 자신의 영화 아카이브와 연결하여 확장, 재편집한 이미지 북이다. 또한 여기에는 시인이자 에세이스트로서 언어의 강한 물질성에 주목하였던 크리스 마커의 텍스트들이 부분적으로 삽입 소개되며, 한국 작가 4인의 작업도 함께 수록되었다.
In 2013, the Atelier Hermès organized an exhibition that presented the work of Chris Marker, artist and film director recognized for establishing one of the key “grammars” in contemporary culture and art. It featured work from his early days up to new productions from 2011, his most representative films, and related publications. The show also included the work of four Korean artists (Kang Hong-Goo, Rho Jae Oon, Jung Yoonsuk, Hwang Sejun) who proposed their own perspective on Chris Marker’s work following the latter’s death during the preparations of the exhibition in 2012. The exhibition introduced the various facets of the world of Chris Marker who freely used a wide range of media to explore the political and social implications of image and memory and who attempted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ime, death, and history. The work of the four Korean artists that interpret the work of Chris Marker each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also allowed viewers to see the no small amount of influence that the artist had on the cultural and artistic scene in Korea after the 90s.
The publication titled Atelier Hermès_Chris Marker and Coréennes is an image book that the Korean artist Rho Jae Oon reedited based and expanding on his personal film archive. It revolves around the theme of “image and memory” with focus on Chris Marker’s work of various media including photography, film, video, CD-ROM, and games. The book also contains excerpts from the texts that the artist—who was also a poet and an essayist interested mainly in the strong materiality of language—wrote as well as the work of the four Korean artists.